<p></p><br /><br />오늘은 71주년 국군의 날입니다. <br> <br>한국전쟁 직후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는 약 7만여 명. <br> <br>이 중 지금까지 탈북에 성공해 고향의 품에 안긴 국군은 81명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저희 탐사보도팀은 대통령 직속 제2건국추진위원회가 지난 2000년 국군포로 구출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수행했던 사실을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그들은 결국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무슨일이 있었던 걸까요. 이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1993년 이후 탈북에 성공해 고향에 온 국군포로는 81명 <br> <br>이 중 국가의 도움을 받은 경우는 한 차례도 없습니다. <br> <br>[유영복 / 국군포로(2000년 탈북)] <br>"나라가 도와줬다는 게 없지. 정식으로 북한에서 데려온 건 하나도 없잖아. 다 브로커를 통해서 온 거지." <br> <br>탐사보도팀은 2000년 김대중 정부 시절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였던 제2 건국위원회가 국군포로 구출을 추진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현지 브로커 윤모 씨를 통해 함경북도 탄광지에 있던 국군포로 김모 씨 등 2명과 그들의 가족 3명을 구출해 중국으로 빼냈습니다. <br> <br>[당시 국군포로 구출 프로젝트 참여 인사] <br>"그때는 국군포로라고 않고 북한동포가 있는데 호텔 좀 잡아 놔라. 연길 동북아호텔에 있었죠. 4월부터 6월 15일까지." <br><br>당시 구출작업을 주도한 건 박종화, 이해학 목사, 김거성 대통령 시민사회수석 등 제2건국위 종교계 인사였습니다. <br> <br>[당시 국군포로 구출 프로젝트 참여 인사] <br>"그 당시 제2건국 위원회 통일분과라는 게 있었거든요. 국군포로를 데리고 오자. 김거성 비서가 아 이거 참 좋다." <br> <br>그러나 곧바로 6.15 남북정상회담이 속도를 내면서 부담을 느낀 정부는 손을 놓았습니다. <br> <br>[이해학 목사 / 당시 제2건국 위원회] <br>김대중 대통령이 북쪽하고 화해무드로 갈 때 북쪽에 납치된 군인들을 공개하는 것이 맞지 않다." <br> <br>중국에 머물던 그들은 결국 북한으로 강제 송환됐습니다. <br> <br>[박종화 목사 / 제2 건국위 남북교류 작업단] <br>"유치장에 있습니다 하면서 나한테 사진을 가져왔어요. 공민증, 군벌줄 하나하고. 실패는 실패인데 그 다음에 기도도 많이하고요. 불쌍해서…" <br> <br>구출 비용은 제2 건국위 예산이 아닌 교회 헌금으로 충당해야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국군포로의 강제북송을 사실상 방치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[유영복 / 국군포로 (2000년 탈북)] <br>"젊은 사람이면 몰라도 나이 먹고 출신이 국군포로라면 북한에 가면 죽어요. 그걸 각오해야지." <br> <br>채널A 뉴스 이서현입니다.